[김대호의 경제읽기] 역대 최고 수출에도 무역수지 적자…물가도 우려<br /><br /><br />오미크론 확산 등 여러 악재 속에서도 지난달 수출이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에너지 가격 상승 여파로 무역수지는 두 달째 적자를 기록했는데요.<br /><br />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함께 관련 내용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2022년 새해 첫달 수출이 전년동기대비 15.2% 증가한 553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며 1월 기준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습니다. 악재 속에서도 15개월 연속 증가세가 나타났는데 어떤 의미가 있다 보십니까?<br /><br /> 반면 무역수지는 두 달 연속 적자로 돌아섰습니다. 무역수지가 두 달 이상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은 글로벌 금융 위기가 발생했던 2008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라는데요. 정부에선 원인을 어떻게 분석하고 있나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주요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+가 다음 달에도 기존 증산 방침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일각에선 상반기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지속해 100달러를 넘어설 거란 예상도 나오는데 유가 반응은 어떤가요?<br /><br /> 국제유가는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고, 국내 물가 또한 동반해 오를 가능성이 높은데요. 이미 3%대 후반까지 올라선 물가 상승률이 더욱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서민 부담도 더 커질 것 같은데 물가,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 법인 명의로 지방의 1억 원 미만 아파트를 다량 사들이는 등 투기가 의심되는 거래가 무더기로 적발됐습니다. 다주택자 중과세를 피하기 위한 꼼수 거래였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는데요. 구체적으로 어떻게 위법을 저지른 건가요?<br /><br />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아파트는 다주택자가 세금 폭탄을 피할 수 있어 단기 시세 차익을 노린 투기수요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는데요.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홍남기 부총리는 저가 아파트 실거래 기획조사에서 적발된 위법·불공정행위를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는데 불공정 행위를 뿌리 뽑을 수 있을까요? 추가적으로 더 필요한 조치는 없을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(끝)<br /><br />